반응형

- 공시가격과 실거래가, 호가
- 공시가격: 이 집의 땅 값은 얼마입니다를 산정해 '과세 표준'을 만드는 가격
국토교통부 장관이 조사 및 평가하여 공시한 토지 단위면적당 가격
토지: 토지 공시지가
단독주택: 개별단독주택공시가격
공동주택(아파트, 빌라): 공동주택공시가격 → 매년 1월 1일 / 6월 1일에 공시됨
- 실거래가: 실제 거래하는 가격 / 보통 공시지가보다 비쌈 / KB 시세 확인
- 호가: 부동산을 팔고자 할 때 집주인이 매도하고자 하는 가격
즉, 집주인이 팔고싶은 가격 = 실거래가보다 비쌀 수 있음
2. 새 아파트 구매 방법

- 분양 : 청약통장을 기반으로 가점제 or 추첨제
- 재건축 < 재개발 < 뉴타운
재건축: 기반 시설은 살리고 노후된 아파트만 새로 짓는다 / 보통 노후 아파트 지역
재개발: 전부 갈아엎고 처음부터 다시 짓겠다 / 보통 노후 단독주택 지역
뉴타운: 도로, 학교, 녹지 등 여러 개발 지구를 합쳐서 큰 집합으로 총 재개발 / ex 길음 뉴타운
3. 분양가 상한제
- 분양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아파트 가격을 일정 수준 아래로 규제
- 현, 강남 3구 (강남 서초 송파) + 용산구만 해당
4. 갭투자

↑ 위택스 세금 계산기
- 살때: 취득세
- 보유 중: 보유세 (재산세+종부세(12억 이상일때만 적용))
- 팔때: 양도세
6. 대출 조건
- LTV: 집값 기준 / 집값이 1억이면 60% 6억까지 대출 가능
- DTI: 연봉기준 / 연봉이 4천만원일때 60% 2억4천까지 대출 가능
- DSR: 연봉+부채 기준 / 개인의 부채에 따라 달라짐
7. 건폐율 (수평)
- 건폐율 50% = 땅이 100%이라고 가정할 때 건물의 크기가 50%다
- 건폐율이 너무 높은 단지는 아파트 사이 간격이 좁아서 일조량이 떨어지고 녹지, 주차 공간등이 안좋음
8. 용적률 (수직)
- 땅의 크기에 대비한 건물의 높이 및 밀도
- 비율이 높아지면 답답한 느낌
- 구축 아파트는 용적률이 낮은 편이라 단지가 여유롭고 넓은 느낌
- 신축 아파트는 대부분 250%의 용적률로 다소 비좁은 느낌
반응형
'부동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지 신봉마을 LG자이1차 아파트 임장후기 (0) | 2023.05.16 |
---|---|
수지 서홍마을 3단지 한화 꿈에그린 임장 후기 (1) | 2023.05.15 |
수지 만현마을 롯데캐슬 아파트 초보 임장후기 (0) | 2023.05.07 |
신봉 서홍마을 아이파크 효성 화운트빌 아파트 초보 임장후기 (0) | 2023.05.06 |
성복역 상현동 진산마을 성원상떼빌 초보 임장 후기 (0) | 2023.05.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