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과 몇 년전만해도
욜로라는 단어가 유행하면서
소비를 부추기는 문화가 유행이었는데
이제는 짠테크, 거지방같은 단어의
알뜰 문화가 유행인 것 같습니다.
저도 청년인지라
청년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를
소개하고자 합니다.
2023년 모집을 시작하는
전국 지역별 청년 통장 정보입니다.
전국 단위 통장 외에
각 도나 광역시별로 진행되는
통장 사업도 있으니 함께 비교해보시길 바랍니다!!!
- 청년 내일 저축 계좌
- 드림 for 청년통장 (인천)
- 희망두배청년통장 (서울)
- 미래두배청년통장 (대전)
- 기쁨두배통장 (부산)
- 청년희망적금 (대구)
- 청년노동자통장 (경기)
- 청년13(일+삶)통장 (전라 광주)
1. 청년 내일 저축 계좌 (전국)
2023년 5월 1일부터 5월 26일까지 행정복지센터에서 신청 가능한 사업입니다.
현재 근로소득 또는 사업 소득이 있는 만 19세~34세 청년이고
월 평균 소득이 세전 50~220만원 이하 입니다
가구 소득 인정액이 중위 100%이하 이고
가구 재산은 3.5억 대도시 / 2억 중소도시 청년이면 신청 가능합니다.
- 월 10만원이상 50만원 이하 자율 저축 통장입니다.
- 중위소득 50%이하 가구 청년은 정부 30만원 지원
- 중위소득 50~100%이하 가구 청년은 정부 10만원 지원
- 총 저축액은 본인 저축액 360만원 포함 + 720~1440만원 정부지원 + 이자
2.드림 for 청년통장 (인천광역시)
2023년 3월 31일부터 4월 28일까지 접수, 800명 선발 사업 입니다.
주민등록상 1983년 4월 1일생(만39세)이하의 인천 거주 청년으로
중소, 중견 제조업, 지식서비스산업의 동일 기업 1년 이상 재직해야 합니다.
4대 보험 가입+주당 근로시간 35시간 이상으로
기본금과 정기 상여금을 포함해
계약 연봉 = 세전 연봉이 3,741만원 이하 여야 신청 가능합니다.
해당 청년이 3년간 월 10만원 저축하면
인천시에서 지원금 640만원을 더해
이자 포함 약 1000만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
저축액 대비 2배가량을 지원받는 형태라
청년들에게 큰 도움이 될 듯 합니다.
3. 희망두배청년통장 (서울시)
2023년 5월~6월 중 공고 예정이며, 작년 운영 기준으로 약 7천명 정도 선발할 듯 합니다.
1988년 1월 1일생부터 2005년 12월 31일 출생자 중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이면서
현재 근로 중으로 2022년 기준 세전 월 255만원 이하
부양 의무자(부모, 배우자)의 소득이 연 1억원 미만, 재산 9억미만인 청년이 대상입니다.
청년 저축액 대비 1:1지원으로
저축액은 10만원과 15만원 중에 선택 가능합니다.
저축 기간은 2년, 3년 중에 선택 가능합니다.
예시로 매월 15만원씩 3년 적립을 선택하면
청년 저축액 540만원 + 서울시 지원액 540만원
= 1,080만원 + 이자수입 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이런 정책금은 최대 기간+최고금액으로 하는게 좋습니다.
4. 미래두배청년통장 (대전광역시)
2023년 5월 2일부터 5월 16일까지 접수, 1300명 선발 사업입니다.
공고일 기준 주소지가 대전광역시인 만18세~39세 청년이
대전시 소재의 고용보험이 가입된 사업장에서 3개월이상
주 30시간이상 근로중이거나
대전시에서 6개월이상 사업을 운영 중이어여야 합니다.
또한 건강보험료 중위소득 140%이하(약 290만원) 인 청년이 대상입니다.
청년 저축액 대비 1:1로 대전시에서 매칭되며
저축액은 10만원과 15만원 중에 선택 가능합니다.
저축 기간은 2년, 3년 중에 선택 가능합니다.
예시로 매월 15만원씩 3년 적립을 선택하면
청년 저축액 540만원 + 대전 지원액 540만원
= 1,080만원 + 이자수입 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시와 동일하네요)
5. 기쁨두배통장 (부산광역시)
2023년 6월 중 공고 예정, 작년 기준 4천명 선발합니다.
공고일 기준 부산광역시 거주하며 부산 소재 사업장에서 재직 또는 창업중인
만 18세~34세 이하 고용보험이 가입된 청년으로
본인 세전 월 소득이 중위 140%이하(약 290만원) 이고
부모님 및 배우자 소득인정액이 중위 120%이하 인 청년입니다.
청년 저축액 대비 1:1로 부산시에서 매칭되며
저축액은 10만원과 20만원, 30만원 중에 선택 가능합니다.
저축 기간은 18개월, 24개월, 36개월 중에 선택가능합니다.
예시로 매월 30만원씩 36개월 적립을 선택하면
청년 저축액 1,080만원 + 부산시 지원액 1,080만원
= 2,160만원 + 이자수입 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6. 청년희망적금 (대구광역시)
2023년 5월 1일부터 5월 19일까지 홈페이지에서 접수 가능합니다.
공고일 기준 주소지가 대구광역시이며
고용보험이 가입된 단기 일자리 종사중인 만 18세~34세 청년이 대상입니다.
부양의무자(배우자, 부모)의 연소득 1억원 이하
재산가액 9억원 이하로
본인 소득은 세전 월소득 62만원~250만원 이하입니다.
매월 10만원씩 12개월을 저축, 8개월 이상 근로하는 조건으로
대구시 지원금 월 20만원씩 총 240만원을 지원해
만기시 360만원 수령할 수 있는
비교적 단기 저축 지원 제도 입니다.
7. 청년 노동자 통장 (경기도)
모집 일정은 미정이며 작년 기준 5천명을 선발했습니다.
공고일 기준 주소지가 경기도인 만 18세~34세 청년으로
근로 유형에 관계없이 공고일 기준 근로하는 사람입니다.
가구소득인정액이 건보료기준 중위소득 100%이하로
2023년 기준 1인 세전 월소득 207만원, 직장건보료 88,753원 이하 입니다.
매월 10만원씩 2년간 저축하는 조건으로 240만원
경기도 지원금 매월 14만 2천원으로 매칭되어
2년 후 약 580만원을 지원하는데요.
이중 100만원은 지역 화폐로 지급된다고 합니다.
8. 청년13(일+삶)통장 (광주광역시)
매년 1월 공고해 2월에 접수를 받습니다.
광주광역시에 거주하는 만 19세~39세 청년으로
근로유형(정규직, 계약직 등)에 관계없이
공고일 기준 1개월 전부터 근로중인 사람입니다.
특이하게 4대보험 가입 유무가 중요하지않으니
일용직 근로자 분들도 가입 가능하시겠네요.
세전 월소득이 723,368원이상 ~ 2,493,470원이하 대상입니다.
매월 10개월 간 월 10만원 저축시
광주시 지원금 1:1로 100만원 지원해
총 200만원 수령 가능합니다.
이상 광역시와 도, 전국 단위에서 지원하는
청년 통장을 알아봤는데요.
사실 각 시별로도 다양한 청년 정책이 있답니다.
도 단위 사업보다
지원 기준이 완화되어 모집하는 경우가 많으니
주소지 시청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복지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취업지원제도, 내일배움카드 신청자격 (2) | 2023.06.19 |
---|---|
산림복지서비스 이용권 누리집 신청 방법 (0) | 2023.06.18 |
통합문화이용권 문화누리카드 발급대상 (0) | 2023.06.16 |
청년도약계좌 가입조건 (0) | 2023.06.15 |
국민 행복기금 채무조정, 신용회복위원회 채무조정, 금융복지상담센터 (0) | 2023.06.15 |